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8

우유 이야기 4 : 생산과 특징 소는 어떻게 젖을 만들까요? 젖은 갓 태어난 새끼를 위한 음식입니다. 따라서 낙농 동물이 많은 양의 젖을 생산하려면 출산을 해야 합니다. 출산을 앞두고 호르몬 균형의 변화가 일어나면 유선이 활성화되고, 이 유선에 젖이 쌓이게 됩니다. 정기적으로 젖을 짜내면 소는 자극을 받아 계속 젖을 분비합니다. 우유를 생산하는 최적의 순서는 새끼를 낳고, 10개월 동안 우유를 짜며, 다음 출산 전 2개월 동안 유방을 비워 두었다가, 90일 후에 다시 새끼를 낳는 것입니다. 집약 낙농에서는 소가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도록 제한된 공간에 가둬두고 건초나 사일리지(발효하여 보존한 사료)를 먹입니다. 이렇게 하면 가장 생산성이 높은 2~3년 동안만 우유를 수확할 수 있습니다. 출산과 최적 혼합 사료를 조합하면 한 마리당 하루 .. 2024. 7. 10.
우유이야기 3 : 우유를 먹으면 안되는 이유 영아기와 아동기의 우유: 영양과 알레르기 20세기 중반에는 영양을 단순히 단백질, 칼로리, 비타민, 미네랄의 문제로만 여겼습니다. 이로 인해 우유는 모유의 훌륭한 대체제로 간주되었습니다. 당시 미국에서는 생후 6개월 이내 영아의 절반 이상이 우유를 마셨습니다. 부모들은 우유가 영아에게 필요한 모든 영양소를 제공한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모유의 중요성과 장점이 재조명되었고, 이에 따라 현재는 생후 6개월 이내 영아의 우유 섭취 비율이 10퍼센트 이하로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이제 의사들은 생후 1년이 되지 않은 영아에게 플레인 우유(plain milk)를 먹이지 말라고 권고합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우유에 영아의 필요에 비해 단백질이 너무 많고 철분은 부족하며 포화지방이 많기 때문.. 2024. 7. 9.
우유 이야기 2 : 낙농의 시작 낙농의 기원  초기 목동들은 그들이 사용했던 최초의 용기 안에서 일어나는 젖의 큰 변화를 지켜보았을 것입니다. 젖을 가만히 두면 자연적으로 표면에 지방이 응집된 크림 층이 형성됩니다. 또 심하게 흔들면 크림이 버터로 변합니다. 남은 우유는 자연히 산으로 변하고 응고되어 걸쭉한 요구르트가 됩니다. 여기서 물기를 따라내면 고체인 커드(curd)와 액체인 유장(whey)으로 분리됩니다. 신선한 커드에 소금을 뿌리면 장기 보관할 수 있는 간단한 형태의 치즈가 됩니다. 낙농에 능숙해지고 더 많은 젖을 거둬들이면서 사람들은 젖의 영양분을 농축하고 보존하는 방법들을 새롭게 찾아냈으며, 기후에 따라 독특한 유제품들을 개발했습니다. 건조한 서남아시아에서는 염소젖과 양젖을 살짝 발효하여 며칠간 보존할 수 있는 요구르트로 .. 2024. 7. 6.
우유 이야기 1 : 젖(우유)의 기원 어떻게, 그리고 왜 젖이 생겨났을까요? 젖은 따뜻한 피, 털, 피부샘 등 파충류와 구분되는 포유류의 특징과 함께 진화했습니다. 약 3억 년 전, 젖은 새끼가 어미의 피부에서 나오는 분비물을 빨아 먹도록 하기 위해 생겨났다고 추정됩니다. 오리너구리 새끼는 어미의 털에서 나오는 젖을 먹으며 자랍니다. 젖의 등장은 포유류의 성공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젖은 새끼가 태어난 후에도 어미로부터 이상적으로 구성된 영양을 공급받을 수 있게 해주며, 이를 통해 자궁 밖에서도 신체 발달을 계속할 수 있게 합니다. 인간 종은 이러한 기회를 최대한으로 활용했습니다.  “신들이 최초의 인간을 희생으로 바치고 제사를 지낼 때, 봄은 녹은 버터였고, 여름은 연료였으며, 가을은 공물이었다. 그들은 태초에 태어난, 짚단 위에 바쳐진 .. 2024.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