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8

퐁과 쥐 만들기 part.2 5. 냄비나 철판에 늘어 붙은 육즙을 액체로 녹인다. 남은 기름을 제거(데그레세)한 후 냄비 바닥에는 고기나 채소에서 나온 눌어붙은 쉬크(suc, 육즙)가 남아 있다. 이 육즙에는 깊은 맛이 농축되어 있으므로, 여기에 물 등의 액체를 부어 끓여 녹여낸다. 이 과정을 데글라사주(deglacage)라 하며, 이 액체는 퐁이나 쥐를 만들 때 중요한 재료로 사용된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포인트는, 일단 불을 끄고 냄비의 온도를 약간 떨어뜨린 후, 다시 센불에 올려 눌어붙은 육즙이 잘 녹아나오도록 만드는 것이다. 그 후, 나무주걱 등으로 고루 저어가며 육즙을 녹여낸다. 데글라세에 사용하는 액체는 퐁의 종류에 따라 물, 비네거, 와인 등을 구분해 사용하는데, 상황에 맞춰 선택하면 된다. 또는, 액체를 바로 넣지 않.. 2024. 9. 15.
퐁과 쥐 만들기 part. 1 1. 재료준비하기 1 ) 고기부산물(뼈, 힘줄, 생선뼈) 퐁과 쥐의 감칠맛을 만드는 기본 재료는 조류나 네발짐승의 뼈와 힘줄(스지), 그리고 생선의 뼈 부분이다. 닭뼈나 송아지뼈를 주로 퐁으로 준비하거나, 다른 요리에 사용하고 남은 고기나 생선에서 뼈를 조금씩 모아두었다가 사용한다. 어떤 경우든 상태가 좋지 않은 재료가 섞이면 퐁과 쥐가 탁해져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신선도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야생 조류나 짐승, 어패류, 갑각류는 냄새가 날 가능성이 크므로, 하나하나 상태를 꼼꼼히 확인하고 사용해야 한다. 또한, 핏물이나 불순물이 있으면 맛과 육수의 투명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철저한 밑손질이 필수적이다. 고기 부산물은 흐르는 물에 씻어 불순물을 제거하고, 생선뼈 역시 물에 담가 안쪽의 불순물을.. 2024. 9. 15.
퐁과 쥐, 소스의 기본을 알아보자 퐁(fond)과 쥐(jus) 퐁(fond)은 고기나 생선, 또는 채소를 넣어 오랜 시간 끓여 만든 기본 맛국물로, 소스를 만들 때 중요한 베이스 역할을 한다. 퐁은 깊은 감칠맛을 지니고 있지만, 이를 소스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과정을 거쳐야 한다. 예를 들어, 퐁을 졸여서 농도를 높이거나, 다양한 재료와 결합하여 복합적인 맛을 내는 소스를 만들 수 있다. 이처럼 퐁은 기본 재료에서 우러난 맛을 기반으로 소스를 만들어가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반면에, 쥐(jus)는 재료가 가진 고유의 수분을 가열하거나 졸여 얻은 육즙을 말한다. 쥐는 재료의 본연의 맛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것이 특징이며, 별다른 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바로 소스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간결하다. 쥐는 졸이는 과정을 통해 농도.. 2024. 9. 14.
우유 전처리 방법 : 파스퇴르, UHT, 균질화 미발효 유제품 생유, 크림, 버터는 미국과 유럽 요리에서 예전만큼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지는 않지만 여전히 필수적인 재료입니다. 특히 우유는 1980년대와 90년대의 커피 붐을 통해 새롭게 주목받기 시작하였습니다.  우유우유는 기본적인 식품 중 가장 표준화된 음식입니다. 과거에는 농장 근처에 사는 사람들이 소에서 갓 짜낸 우유에서 초원과 계절의 맛을 느낄 수 있었지만, 도시 생활과 대량생산, 엄격한 위생 관념이 이러한 경험을 사라지게 했습니다.  오늘날 대부분의 우유는 홀스타인 품종의 소에서 나오며, 대형 낙농업체는 파스퇴르 처리와 균질 처리를 통해 세균을 제거하고 지방 분리를 방지하여 몰개성한 가공 우유를 만듭니다. 하지만 몇몇 소규모 낙농장은 다양한 품종의 소를 풀밭에서 키우며, 저온 파스퇴르 처리와 .. 2024. 7. 18.